네이버출처 - 선덕여왕에 대하여
서용칠
view : 1261
선덕여왕(善德女王)
?∼647(선덕여왕 16). 신라 제27대왕. 재위 632∼647. 성은 김씨(金氏). 이름은 덕만(德曼)이다.
진평왕의 장녀로 어머니는 마야부인(摩耶夫人)이다. 진평왕이 아들이 없이 죽자 화백회의(和白會議)에서 그를 왕위에 추대하고, 성조황고(聖祖皇姑)란 호를 올렸다고 한다.
즉, 선덕여왕이 즉위할 수 있었던 것은 ‘성골’이라고 하는 특수한 왕족의식이 배경이 되었던 것이다.
즉위하던 해인 632년에 대신 을제(乙祭)로 하여금 국정을 총괄하게 하고, 전국에 관원을 파견하여 백성들을 진휼(賑恤)하였으며, 633년(선덕여왕 2)에는 주군(州郡)의 조세를 일년간 면제해주는 등 일련의 시책으로 민심을 수습하였다. 그리고 634년에 분황사(芬皇寺)를, 635년에는 영묘사(靈廟寺)를 세웠다.
한편, 대외적으로는 634년에 인평(仁平)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함으로써 중고왕실의 자주성을 견지하려고 했다. 다만 즉위 이래 거의 매년 당나라에 대해 조공사신을 파견함으로써 당나라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기도 하였다.
이것은 고구려와 백제의 신라에 대한 공격이 빈번해짐에 따라 당나라와 연합함으로써 국가를 보존하려는 자구책의 일환으로 나타난 현상이었다. 신라는 642년부터 고구려와 백제의 침공을 본격적으로 받았다.
이해에 신라는 백제의 의자왕의 침공을 받아 서쪽 변경에 있는 40여성을 공취당하였으며, 신라의 한강 방면 거점인 당항성(黨項城:지금의 南陽)도 고구려·백제의 침공을 받았다.
또한 백제장군 윤충(允忠)의 침공으로 낙동강방면의 거점인 대야성(大耶城:지금의 陜川)이 함락당하였다.
이와같은 국가적 위기에 직면한 선덕여왕은 김유신(金庾信)을 압량주(押梁州:지금의 慶山) 군주(軍主)에 임명하여 백제의 공격을 방어하는 한편 643년에는 당나라에 사신을 파견하여 구원을 요청하였다.
이 무렵 당나라로부터 귀국한 자장(慈藏)의 건의에 따라 호국불교의 상징인 황룡사9층탑(皇龍寺九層塔)을 축조하기도 하였다.
신라의 구원요청에 접한 당태종은 신라 사신에게 여왕이 통치하기 때문에 양국의 침범을 받게 되었다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한편 고구려에 대해서는 644년에 사신을 파견하여 외교적 견제를 가하였으나 이는 연개소문(淵蓋蘇文)에 의해 거부되고 말았다.
그런데 당태종에 의해서 지적되었던 여왕통치의 문제점은 신라 정계에 파문을 일으켜 647년 정월에는 상대등 비담(毗曇)과 염종(廉宗) 등 진골 귀족들이 여왕이 정치를 잘못한다는 것을 구실로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이는 김춘추(金春秋)와 김유신에 의해 진압되었다. 여왕은 이 내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재위 16년 만에 죽으니 시호(諡號)를 선덕이라 하고 낭산(狼山)에 장사지냈다.
선덕여왕과 친척관계..
선덕왕(덕만공주)은 신라 제 27대 왕으로 제 26대 왕인 진평왕의 차녀입니다. 모후는 마야왕후 김씨이고 동복 언니로 천명공주가 있습니다.
모후인 마야왕후 외 부왕의 후비로는 승만부인, 화명부인, 옥명부인 등이 있으나 전부 자세한 기록은 없습니다.
언니인 천명공주는 바로 태종 무열왕의 모후가 되지요. 원래 왕위가 언니에게 가야하지만 부왕인 진평왕의 의견으로 덕만공주가 왕위를 잇게 됩니다.
천명공주는 원래 제 25대 진지왕의 장남인 김용수와 결혼을 하게 되는데 그 전부터 차남인 김용춘에게 마음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모후인 마야왕비까지 나서 두 사람에게 관계를 하도록 노력했지만 김용춘이 거부를 했다고 합니다.
그러다 김용수가 죽으며 유언으로 동생에게 자신의 부인인 천명공주를 받아달라고 해서 형의 유언을 받들어 김용춘이 천명공주와 재가를 하고 조카들을 양자로 받아 들입니다.
그리고 여왕이니까 결혼 관계가 어떨까 라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관계를 가지 남자는 공식적으로 3명인데요, 김용춘, 흠반, 을제 입니다.
김용춘은 앞에서 말씀 드렸듯이 부왕인 진평왕 시절 형님인 김용수의 유언으로 천명공주와 결혼한 상태였습니다.
하지만 선덕여왕의 요구로 이혼을 하고 선덕여왕과 결혼을 합니다.
하지만 아들을 보지 못하자 이혼을 하고 흠반과 을제가 동시에 선덕여왕과 결혼을 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자식은 얻지를 못합니다.
그래서 사촌인 승만이 마지막 성골로 왕위를 잇습니다. 두번째 여왕인 셈이죠.
승만은 진평왕의 친동생인 갈문왕 국반의 딸입니다.
그 뒤 김춘추가 최초로 진골 출신으로 왕위를 이었다고 나오는데, 성골과 진골의 차이는 지금도 확실히 정의를 내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선덕여왕이 두명과 한꺼번에 결혼했다는 점이나 원래 부인을 이혼시키고 결혼을 한다는 점(김용춘 외 나머지 흠반, 을제도 원래 유부남이었다)을 이상하게 생각하실테지만, 신라만의 특별한 성(性)문화였던 것 같습니다.
신라는 나라가 작아 화랑도 같은 제도로 전국민을 무장하는 방법도 있었고, 전국민이 모두 가족과 같다고 보면 됩니다.
왕이 남자든 여자든 상관없이, 왕후도 마찬가지로 여러명의 애인(성관계를 하는)을 두어서 원래 배우자 이외의 사람과의 아이도 두는 경우가 당연하고 허다 했습니다.
이것은 왕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신라의 거의 모든 국민이 그랬던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