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움출처 - 불교,원불교, 선불교의 차이점
서용칠
view : 2519
원불교와 불교의 관계
불교와의 관계에 있어서 원불교의 위상(位相)정립은 아직도 상당한
세월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시점에서 원불교와 불교의 관계를 살펴본다.
⑴ 원불교는 불교에 뿌리한 새 종교이다.
「서가모니불은 진실로 성인들 중의 성인이라, 내가 스승의 지도없이
도를 얻었으나 발심한 동기로부터 도 얻은 경로를 돌아본다면 과거 부
처님의 행적과 말씀에 부합되는 바 많으므로 나의 연원을 부처님에게
정하노라. 장차 회상을 열 때에도 불법으로 주체를 삼아 완전무결한
큰 회상을 이 세상에 건설하리라.」(대종경 서품 2장)
이와같이 원불교는 불교에 뿌리한 새 종교이다. 서가모니불이 성인들
중의 성인이요, 불법이 가장 진리가 깊으며, 서가모니불과 소태산 대종
사의 출가·수행·성불의 경로가 비슷한 점이 많기 때문에, 서가모니불
을 연원불로 하고 불법에 뿌리해서 새 종교를 창설한 것이다.
⑵ 원불교는 소태산 대종사가 창건한 새 종교이다.
원불교는 서가모니불을 연원불로 하고 불법에 뿌리했으면서도 불교의
한 종파가 아니요 독창적인 새 종교라고 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종교
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는 교조·교리·제도(조직·기구)의 세 가지이다.
원불교는 교조·교리·제도가 불교와는 다른 독창적인 새종교이다.
① 원불교의 교조는 소태산 대종사이다. 소태산 대종사는 대각 후에야
서가모니불과 불교를 알게 되었으며, 대각이전에는 아는 바가 없었고,
배움을 받은 일이 없었다.
② 불교의 기본교리는 사제·팔정도·십이인연·육바라밀 등인데, 원불교
의 기본 교리는 일원상·사은 사요·삼학 팔조·사대 강령 등이다. 원불교
는 불교의 기본교리를 인정하고 그대로 수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일
원상·사은사요·삼학팔조·사대강령 등을 중심으로 하여 교리 체계를
새롭게 형성하였다. 오늘의 한국불교의 대표적 종단인 조계종이나 태
고종은 서가모니불을 본존으로, 〈금강경〉과 〈조사법어〉 등을 소
의경전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원불교는 법신불 일원상을 본존으로,
〈정전〉·〈대종경〉을 소의경전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본
교리와 소의경전에 있어서 원불교는 독창적인 새종교이다.
③ 제도·기구·조직 등에 있어서 원불교는 불교와 비슷한 점도 있으나
크게 다르다. 비슷한 점이 있는 것은 문화적 교류가 과거보다 훨씬 쉽
고 빈번하기 때문에 있을 수 있는 현상이다. 이와같이 교조·교리·제도
등의 기본조건에 있어서 원불교는 독창적인 새종교이다. 원불교는 미
래세계의 주세불 소태산 대종사가 불교에 뿌리하여 독창적으로 창립
한 새 종교이며, 미래종교이다. 일원상의 진리는 모든 종교의 진리가
함께 만나는 곳이며, 모든인류·모든사상이 하나로 만나는 곳이다.
⑶ 원불교는 긍정과 실천의 종교이다.
불교의 고해(苦海)사상이나 기독교의 말세사상 등은 현실 부정의 입장
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원불교는 현실세계를 사은의 큰 덩어리, 곧
은혜의 세계라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원불교는 법멸(法滅)시대
나 종말론이 없다. 미래세계를 긍정적·희망적으로 전망한다. 원불교는
개인성불이나 개인 구원 보다는 일상생활 속에서 대중전체의 성불을
강조한다. 제생의세란 말도 이런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일원상을 신앙
의 대상 수행의 표본으로 삼는다든가, 무시선 무처선, 불법시생활 생활
시불법, 동정일여 영육쌍전, 이사병행 등의 교리표어라든가, 삼학 병진
수행의 강조, 삼학의 결론을 작업취사에 둔 점, 사대강령의 결론을 무
아봉공으로 귀결시키는 것 등은 모두 원불교가 행동종교·실천종교 임
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⑷ 원불교는 종합과 융통의 종교이다.
소태산 대종사는 처음부터 과거 모든 성자들의 깨친 경지를 다 인정하
고 찬탄하였다. 모든 종교의 궁극 목적도 하나임을 알았다. 그래서 일
원세계 건설을 표방하고 모든 종교의 교리와 목적을 하나로 종합 융통
하려고 한다. 따라서 원불교는 다른 종교에 대해서 배타적이거나 독선
적인 태도를 배제하고 있다. 정산종사의 삼동윤리사상이나, 대산종사
의 종교연합운동 등은 이를 뒷받침하는 구체적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⑸ 원불교는 개혁의 종교이다.
불교에 뿌리했으면서도 불교개혁에서 출발하여 모든 종교를 개혁하
여 새 종교를 창설해 가려는 입장이다. 신앙의 대상을 법신불 일원상
으로 한 것은 불교에 대한 가장 큰 개혁이다. 예법개혁은 유교에 대한
개혁이다. 원불교의 교리·제도·의식·예법 등은 모두 종교개혁·사회개
혁·인간개혁의 입장에서 새롭게 형성된 것이다. 원불교가 불교냐 아니
야 하는 관점보다, 원불교가 불교에 대해서 장차 어떠한 위상을 정립
해 갈것인가 하는 문제가 더욱 큰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네이버 아이디 akaita님의 글입니다.)
仙佛敎(선불교) 추가로 선불교를 아는대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말씀하시는 선불교가 불교의 선종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요즘 시내에 선불교라는 간판을 걸고 활동하는 그 선불교를 말씀하시는 것 같아서 불교와 다른 신흥종교인 선불교를 아는대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선불교는 1994년에 새로 생긴 신흥종교로 불교와는 거리가 먼 민족자생종교입니다. 만월도전이라는 여자분이 창시자로 아직 살아게시고요. 충청북도 영동군에 본산이 있습니다. 천부경을 주 경으로 하고 있고 불상이 아닌 단군상을 모십니다. 그러니 제가 보기에는 불교보다는 대종교의 종파가 아닌가 싶습니다. 불교와는 관련이 없는 신흥종교라고 생각됩니다. 선불교 사이트 입니다 참고하세요 http://suntao.or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