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교사단 사업

부처님의 자비 광명이 가득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불교 바른정보사업

바른정보활동사례

다움출처 - 관세음보살

서용칠

view : 1469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은 대자대비의 보살,관자재보살,관세음보살, 관세음자재보살,관세자재보살 이라고도 하고, 흔히 관음(관세음 관음보살)이라 약칭한다.

중생이 괴로울 때 그 이름을 외우며 구원하면 곧 자비로써 사람들의 괴뇌를 없애고 구원해준다는 자비의 보살이다. 또 구원을 구하는 사람에 따라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이를 보문시현이라고 하고, 나타나는 형상이나타나는 모습이나 형태에 따라 천수,십일면,여의륜,준제,마두등의 이름이 있다.

범어로 아바로키데스바라(Avaloakitesvara)이고 관자재/관세음/광세음/관세음자재/관음 등으로 한역한다. 대자대비를 근본으로 하는 보살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불교의 교조인 석가모니 부처님이나 정토신앙의 대상인 아미타불보다 더욱 많이 신앙되는데 이것은 이 보살이 현세 이익을 가장 많이 시여하는데서 기인한다고 볼수 있다.

그래서 관세음보살을 원통교주라고도 한다. 미타삼존의 한분으로 아미타불의 좌보처이며 보타락산에 근거를 두고 있다. 중생에게 일체의 두려움이 없는 마음을 베푼다하여,`시무외자`자비를 위주하는 자라 하여 `대자성자` 세상을 구제한다 하여`구세대사`라 한다. 이 보살이 중생을 교화하기 위해 중생의 근기에 다라 갖가지 모습을 나타내는데, 크게 33응신을 들며 이러한 현상을 `보문시현`이라 한다. 왼손에 연꽃을 들고 있는 모습이라든가 감로병을 들고 있기도 하며 대게 여성의 모습으로 시현한다.

늘 흰옷을 즐겨입으므로 백의 대사라고도 하는데 이는 이 보살의 고결함을 의미한다. `관음`이라 약칭하는경우가 많은데 그 종류로는 성관음/천수관음/마두관음/십일면관음/준재관음/여의륜관음/ 등 6관음을 비롯하여 나중에 양귀비관음/마리아관음/청경관음/양류수관음/대륜관음/수월관음/만월관음/군다리관음 등 많은 관음이 있다.

이 가운데 성관음이 본신이고 그 나머지는 모두 보문시현의 변화에 의하여 나타난 화신이다. 이 보살을 모시는 전각을 관음전이 또는 원통전이라 한다.

위의 그림은 수월관음을 나타낸 불화인데 [화엄경] {입법계품}에 선재동자가 인도 남쪽 바닷가에 연한 보타락가산에서 법을 설하는 관세음 보살을 만나는 장면이 나오는데 바로 그 관음을 그림에서 표현한 수월 관음도이다.

수월관음이라 한이유는 달이 높이 떠올라 휘영청 밝은 가운데 관음이 물가의 벼랑위에 앉아서 선재에게 법을 설했기 때문이다. 마치 해변에 위치한 보타락가산의 물위에 달처럼 아름다운 관음이 현신하듯말이다.

수월관음상은 중극에서 최초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는 단독으로 모셔진 관음도 대부분은 화엄경 계통의 수월관음도인데 특히 고려불화의 수월관음도도가 유명하다. 우리만이 간직하고 있는 수월관음도의 특징을 들라면 한결같이 선재동자가 등장하여 관세음보살에게 보리의 가르침을 구한다는점,관음옆에 버드나무가지가 꽂힌 정병이 놓여있다는 점(돈황석굴 수월관음상은 손에 버드나무가지를 들고 있다). 파랑새가 날며 염주가 등장한다는점 등이다.

위의 그림에선 관세음 보살이 그윽히 미소을 짓고 있고 법을 듣는 동자의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면바탕에 한지 안료 금니 채색)                                                               

먼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주세요.

창닫기확인